Search

일반상식

게시글 검색
[수학산책] 두 개의 직각삼각형? "삼각자"
최고관리자 조회수:13937 119.149.104.162
2012-10-26 03:51:53

두 개의 직각삼각형?

수학시간에 사용하는 기구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쌍을 이루고 있는 기구로는 삼각자가 거의 유일하다. 초등학생들에게 삼각자는 ‘평면도형에 대해 학습할 때’, ‘각도 단원에서 측정을 학습할 때’, ‘수직과 평행 단원에서 두 직선의 수직과 평행을 학습할 때’ 등 다양한 수학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교구이다. 또한 중학생들에게는 두 직선이 평행할 때 동위각과 엇각의 성질을 학습하는 단원에서 학습활동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비록 고등학생이 되면 거의 사용하지는 않지만 삼각자에 대한 추억은 수학 속에 고스란히 남아 있는 것 같다. 이제 삼각자 속에 숨겨진 비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삼각자를 이용해서 정육면체의 투시도를 그리는 모습. 수직, 수평, 평행선 등, 삼각자의 용도를 잘 보여준다. <출처 : (cc) Dnu72 >

삼각자란?

삼각자에 대한 뜻을 국어 사전에서는 찾아보면, ‘삼각형으로 된 자, 보통 밑각이 60도, 30도로 된 직각삼각형과 두 밑각이 모두 45도로 된 직각이등변삼각형 두 가지가 있으며, 한 쪽 변에만 눈금이 있고 가운데에 구멍이 뚫려 있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영어사전에서는 삼각자를 ‘set square’ 혹은 ‘triangle’ 두 가지로 표현하고 있는데, 후자의 경우는 삼각형 모양이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보이고, 전자는 직각자(square)의 쌍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것 같다. 즉, 삼각자는 직각삼각형 모양의 자(ruler) 한 쌍을 가르킨다고 볼 수 있다.

삼각자와 직선 자

삼각자의 구성

그렇다면 삼각자는 처음부터 직각삼각형 모양의 자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었는가? 그렇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도메니코 페티(Domenico Fetti, 1588-1623)의 작품 ‘아르키메데스의 생각’이라는 그림(아래 왼쪽)과 독일의 한 건축물 외벽의 조각상(아래 오른쪽)을 보면 빗변이 없는 직각모양의 자 한 개만 볼 수 있다.

삼각자가 처음부터 직각삼각형 모양의 한 쌍의 자로 구성되지는 않았다

위의 그림과 사진에 나타난 삼각자를 보면, 삼각자가 선을 긋기에는 다소 불편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사실, 삼각자는 선을 긋는 것보다 더 중요한 다른 기능이 가지고 있고, 그것은 삼각자의 구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다각형을 이등분하여 합동인 직각삼각형을 얻을 수 있는 경우는 단 두 가지 경우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첫째는 정삼각형의 꼭짓점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을 그으면, 합동인 두 직각삼각형으로 이등분하게 된다. 이 직각삼각형은 두 내각의 크기가 각각 30도, 60도인 직각삼각형이고, 오늘날 삼각자의 한 모양이 되었다.

둘째는 정사각형의 한 대각선을 그으면, 합동인 두 직각삼각형으로 이등분하게 된다. 이 직각삼각형은 한 내각의 크기가 45도인 직각삼각형이 되고, 오늘날 삼각자의 또 다른 한 모양이 된다.

 

따라서, 삼각자는 직각삼각형에서 일정한 각의 크기를 보장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30도, 45도, 60도, 90도의 각(이들 각을 특수각이라고 한다)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볼 때, 삼각자는 선을 긋는 것보다 특수각을 정확하게 그릴 수 있도록 고안된 수학기구로 볼 수 있다.

두 삼각자의 크기

이제 남은 것은 두 삼각자의 크기를 어떤 비율로 결정되어 있는가의 문제이다. 두 삼각자를 함께 보관하여야 하므로, 가능하면 두 삼각자의 크기(즉, 넓이)가 비슷해야 한다. 또 가능하면 긴 선을 그을 수 있으면 효율적이다. 이제 이 두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삼각자의 보관의 편의를 위해서 두 직각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똑같이 맞추어져 있다. 두 직각삼각형에서 한 변의 길이를 똑같이 맞추는 경우의 수는 모두 여섯 가지 경우가 있다. 각각의 경우에 대해 살펴보자. 편의상 두 삼각자의 각 변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정해보자.

 

첫째, a=a’ 인 경우, (삼각형 T의 넓이) : (삼각형 S의 넓이) = √3 : 2가 된다.

 

둘째, a=b’인 경우, (삼각형 T의 넓이) : (삼각형 S의 넓이) = √3 : 4가 된다.

 

셋째, b=a’인 경우, (삼각형 T의 넓이) : (삼각형 S의 넓이) = 2√3 : 1이 된다.

 

넷째, b=b’인 경우, (삼각형 T의 넓이) : (삼각형 S의 넓이) = √3 : 1이 된다.

 

다섯째, c=a’인 경우, (삼각형 T의 넓이) : (삼각형 S의 넓이) = 2 : √3 이 된다.

 

여섯째, c=b’인 경우, (삼각형 T의 넓이) : (삼각형 S의 넓이) = √3 : 3이 된다.

 

위 여섯 가지 경우 중에서 넓이의 차가 가장 작은 것은 첫째와 다섯째 경우이다. 사실 겉으로 보기에도 이 두 가지가 가장 안정된 모양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첫째 경우가 다섯째 경우보다 a의 변의 길이가 훨씬 짧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다섯째 경우가 두 삼각자의 크기의 비로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즉, 흔히 사용하는 삼각자는 아래와 같은 모양이 된 것이다.

 

두 삼각자가 동일한 점

앞에서처럼 두 삼각자를 T, S라고 하면, 삼각자 T의 빗변의 길이와 삼각자 S의 한 변의 길이는 서로 같다. 이것과 더불어 두 삼각자가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것이 한 가지 더 있다. 그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두 삼각자(T, S)의 빗변이 밑변이 되도록 위치시키고, 두 삼각형의 동일한 변의 길이를 1이라고 두면 각각의 변의 길이는 위 그림과 같아진다.

그러면, 삼각형 T의 높이 h와 삼각형 S의 높이 k는 모두 1/2로 같다.

 

 

삼각자의 주 목적은 특수각

삼각자는 영어로 ‘set square’라고 불린다. 여기서 ‘square’는 직각자를 의미한다. 삼각자는 두 개로 구성되는데 그 이유는 정삼각형과 정사각형만이 이등분하여 직각삼각형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삼각자는 직선을 긋는 용도 보다는 특수각을 얻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보인다. 삼각자를 이용하면, 30도, 45도, 60도, 90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특수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서보억 / 대구가톨릭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교원대 대학원 수학교육학 석사, 국립경상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등학교 수학교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전임연구원을 지냈으며, 저서로는 ‘3대 작도 문제 해결을 위한 곡선과 기구’ 등이 있다.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