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종양 [전립선암]
-
최고관리자 <admin@domain> 조회수:615 119.149.102.136
- 2010-10-26 04:02:21
(1) 위치 및 구조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있는 장기로써 정액의 일부를 만들어내는 남성 생식기관중 하나이다. 방광의 바로 아래, 직장의 앞에 위치하여 방광에서 나오는 요도를 감싸고 있다. 정상 성인의 전립선은 약 20g정도로 호두알 크기이다.
(2) 전립선의 기능
정액성분중 정자를 통해 운반하는 액체 성분의 많은 부분을 만들어내고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3) 진단검사
① 직장수지검사
② 혈청 전립선특이항원검사(PSA)
혈청 전립선특이항원(PSA)은 전립선암 진단에 가장 중요한 종양표지자로써 전립선암의 경우에 혈청 전립선특이항원(PSA)이 상승하게 된다.
③ 경직장 초음파검사 및 조직생검
(4) 진행단계(병기)
① 1기: 직장수지검사로 암을 촉지할 수 없고 다른 이유로 수술을 시행하여 발견될 수 있으며 전
립선을 벗어난 증거가 없는 경우
② 2기: 암이 전립선 조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거나 직장수지검사에서 만져지지만 전립선을 벗
어난 증거가 없는 경우
③ 3기: 암이 전립선을 벗어나 주변으로 침범한 경우
④ 4기: 암이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퍼진 경우
(5) 치료방법
① 근치적 수술
전체 전립선과 정낭, 정관과 같은 주변조직과 골반 림프절을 함께 제거하는 것을 근치적 전립선 절제술이라고 한다.
② 방사선 치료
수술과 마찬가지로 전립선과 그 주변에 있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국소적인 치료법의 하나로 대부분이 고령인 전립선암 환자에서 수술과 함께 많이 시행되고 있는 치료 방법이다.
③ 대기관찰요법
70세이상 고령환자이면서 천천히 자라는 전립선암이 초기에 발견되는 경우 시행한다.
④ 호로몬치료
전립선 암의 경우 남성호로몬이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키므로 이 남성 호로몬의 생성을 차단하거나 기능을 억제시키면 상당기간 전립선암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⑤ 골전이치료
⑥ 비뇨기계증상치료
⑦ 빈혈치료
⑧ 식욕부진과 영양실조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