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관절의 염증으로 운동성을 잃고 굳어지게 되며 염증성 통증 및 조조 강직이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척추체 질환은?
① 후종인대 골화증
② 강직성 척추염
③ 척추 후굴증 ④ 척추 전위증
2. 골단판이 아직 닫히지 않은 유아 및 성장기 소아, 특히 남아에게 더욱 많이
발생하는 골수염은?
① 급성 혈행성 골수염 ② 아급성 골수염
③ 만성 골수염 ④ 골연골염
3.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① 발이 골프채 모양으로 된 기형으로 가장 흔한 발의 선천적 기형을 만곡족
이라 한다.
② 골형성부전증은 교원섬유의 성숙장애나 비정상적인 교원질 합성이 원인이다.
③ 류마티스 관절염은 한 관절만 침범하기도 하지만 75% 이상에서 다발성 관
절염의 형태로 나타난다.
④ 골관절염의 경우 아침 기상시 심한 통증이 일어나며 특히 야간에도 통증
이 일어나는데 지관절통이 특징이다.
4. 비타민 D의 결핍이나 태양광선의 부족 등으로 칼슘 흡수가 저하되어 나타나
는 질환은?
① CPPD침착병
② 구루병
③ 근긴장성 이영양증 ④ 근이영양증
5. 근이영양증중 병의 경과가 서서히 진행되는 양성형이나 자녀중 여야는 모두
보인자가 되는 Type는?
① Duchenne
② Becker형
③ 지대형 ④ Emery Drifuss형
6.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① 골반에 기형이 있어 대퇴골이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윈 상태를 내반고라고
한다.
② 다발성 근염은 류마티스 질환의 일종이다.
③ 선천적 결체조직의 이상으로 심혈관계, 근육등 조직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유전적 결함을 사경이라 한다.
④ 소아마비는 폴리오라고도하며 척수 회백질에 바이러스가 침범하여 운동신
경이 마비된 것이다.
7. 혈청 류마토이드 인자(RA factor)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가. RA의 80%에서 양성으로 나타난다.
나. 혈액내 수치가 높을수록 예후가 나쁘다.
다. 정상에서도 나타난다.
라. 임상에서 측정하는 RF는 IgG형이다. |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8. 강직성 척추염에서 관찰되는 임상소견은?
가. RA의 80%에서 양성으로 나타난다.
나. 혈액내 수치가 높을수록 예후가 나쁘다.
다. 정상에서도 나타난다.
라. 임상에서 측정하는 RF는 IgG형이다. |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9. 관절염발생의 위험인자는?
가. 여성 나. 흡연
다. 비만 라. 골다공증 |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0. 퇴행성 관절염(0A) 병변과 증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검진적 관절 연골 파괴
② 체중 많이 받는 관절에 발생
③ Heberden node
④ 항상 양측성, 대칭적으로 발생
11. 가성비대 근이영양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유전적이다
나. 남아보다 여아에게 많이 나타나며 발병연령은 보통 5~8세이다
다. 장딴지근이 가성비대가 심하다.
라. 대둔근이 약하기 때문에 후만증이 심하다. |
① 가,나,다
② 가,다 ③ 나,라 ④ 라 ⑤ 가,나,다,라
12. 강직성 척추염에 대한 설명 중 아닌 것은?
① Narie strumpell 질병이라고도 한다
② 병의 진행은 주로 만성으로 온다
③ 신경학적 증상(sign)이 없다.
④ 경추에서 하행하고 여성에게 흔하다
13. 류마티스성 관절염(RA)에 관한 설명 중 아닌 것은?
① 항상 대칭적 양측성으로발생
② 류마토이드 인자(RF) 양성
③ 자가면역성 질환
④ 헤베르덴 결절
14. 사경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선천적 사경이고 섬유증과 관련 있다.
② 선천성 사경의 원인은 난산, 둔위 분만이다
③ 머리는 손상 받은 방향으로 회전 한다
④ 손상 받은 외측굴곡 운동이 치료적으로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