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설면중 틀린 것은?
① 3개의 혈관이 우심방으로 열려있어 정맥혈을 수송한다.
②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는 심실로 들어오는 혈류를 조절하는 삼첨판이 있다.
③ 좌심방에는 4개의 폐정맥에서 정맥혈이 수송된다.
④ 좌심실의 두께는 우심실 벽의 3배이다.
2. 다음의 연결이 맞는 것은?
좌심방~좌심실 우심방 ~ 우심실 좌심방 우심방 |
① 삼천판 승모판 동맥혈 정맥혈
② 승모판 삼천판 동맥혈 정맥혈
③ 승모판 삼첨한 정맥혈 동맥혈
④ 삼첨판 승모판 정맥혈 동맥혈
3. 다음 설명중 맞는 것은?
① 심내막과 심외막사이에는 윤활유가 포함된 심낭강이 위치한다.
② 심근은 평활근이며 수의근이다.
③ 우심실의 수축후 연결되어있는 대동맥혈에 의해 전신 순환이 이루어진다.
④ 동맥판은 3개의 반월형의 판으로 되어있어 반월판이라고 불리운다.
4. 심장 혈류을 맞게 표현한 것은?
① 대정맥→좌심방→좌심실→폐동맥→폐→폐정맥→우심방→우심실→대동맥→전신
② 대정맥→우심방→우심실→폐정맥→폐→폐동맥→좌심방→좌심실→대동맥→전신
③ 대정맥→우심방→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좌심실→대동맥→전신
④ 대정맥→좌심방→좌심실→폐정맥→폐→폐동맥→우심방→우심실→대동맥→전신
5.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① 심장의 자극전도계는 동방계와 방실계가 있다.
② 심장이 자동적으로 운동하고 심방과 심실이 교대로 질서정연하게 수축이
완을 반복하는 것은 자극 전도계에 의한 것이다.
③ 방실계는 방실 결절에서 시작하여 방실 속으로 전달되며 그 끝이 둘로 갈
라져 하나는 우심실로, 하나는 심실 중격을 통과해 좌심실로 들어가 양쪽
심실의 전체벽에 분포한다.
④ 동방결절은 우심실의 상대정맥 개구부 근처에 있는 특수 신경 섬유의 작
은 덩어리로서 심근 섬유 수축을 시작하고 수축을 조절한다.
6. 심장내부에 관을 직접 삽입하여 심장 내부의 압력 및 산소 포화도 등을 알아
내는 검사법은?
① 심초음파 ② 심도자
③ 심전도 ④ 심장화상도
7. 다음은 혈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내용은?
① 정상 성인의 혈압은 120/80이며 맥박은 80회/분 전후이다.
② 고혈압이란 수축기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③ 신질환이나 갑상선 기능항진증 등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고혈압을 본태성
고혈압이라한다.
④ 악성 고혈압은 고혈압 환자의 1에서 발생하며 내과적 응급상황으로서 즉각적인
치료를 필요로 한다.
8. 다음중 정상인의 혈압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 기출
① 말초혈관 저항이 증가하면 상승한다.
② 일중 변동이 있어 활동시 감소한다.
③ 심근 수축력이 증가하면 상승한다.
④ 심박출량이 증가하면 상승한다.
9. 다음중 부정맥이 아닌 것은?
① 교대맥박 ② 병적 동결증후군
③ 심실성 빈맥 ④ 고혈압
10. 다음 속발성 고혈압 중에서 가장 흔한 원인은? - 기출
① 신성 고혈압 ② 내분비성 고혈압
③ 심혈관성 고혈압 ④ 임신 중독증
11. 동맥경화의 위험 요소가 아닌것은?
① 높은 HDL ② 흡연
③ 폭음 ④ 높은 LDL
12. 죽상동맥경화증의 진행을 막기 위해 조절행할 항목이 아닌 것은?
① 높은 LDL농도 ② 높은 HDL농도
③ 고혈압 ④ 흡연
13. 고혈압으로 초래될 수 있는 합병증은?
가. 좌심실 비대 나. 심부전 다. 사구체여과율감소 라. 심방세동 |
- 동방결절의 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순환부전이다. - 서맥-빈맥증후군, 동정지, 동방블럭증이 이에 속한다. - 허혈성 심질환이 동반되는 경우 매우 위험하다. |
① 교대맥 ② 병적 동결증후군
③ 고혈압 ④ 심실성 빈맥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