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신경 세포가 분포하고 있어 영상이 맺히는 부위는?
① 각막 ② 망막
③ 공막 ④ 맥락막
2.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① 눈의 흰자위에 해당하며 안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공막이다.
② 많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눈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각막이다.
③ 홍채는 모양체의 끝에 붙어있어 동공의 크기 조절에 관여한다.
④ 방수는 공막과 각막 사이에있는 슬렘관으로 분비된다.
3. 실명의 원인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질환은?
① 근시 ② 공막염
③ 각막염 ④ 결막염
4. 녹내장이란 무엇인가?
① 망막에 맺힌 상에 이상이 생긴 질환이다.
② 방수가 눈에 영양공급을 제대로 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③ 방수의 안압에 이상이 생긴 질환이다.
④ 시신경의 신경 전달 물질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5.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① 노년환이 50세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한다.
② 빙수는 각막과 수정체에 산소와 필수적인 영양성분을 공급한다.
③ 방수의 배수로 역할을 하는 해면상 조직을 섬유주라 한다.
④ 정상 안압은 20~30mmhg이며 30이상부터 녹내장으로 진단한다.
6. 다음 설명중 잘못된 것은?
① 선천성 녹내장의 경우 안압이 상승된 상태에서 각막이 지속적으로 커져
나중에는 마치 소의 눈처럼 된다.
② 폐쇄우각 녹내장은 급성으로 발생하나 우각의 크기에는 이상이 없으므로
막힌곳을 뜷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③ 급성 녹내장의 경우 불빛을 보면 달무리 같은 것이 보이고 안개가 낀것처
럼 침침한 증상이 있다.
④ 정상안압 녹내장은 안압은 정상범위이나 시신경 손상이 나타나는 녹내장
이다.
7.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① 안구내 악성 질환중 가장 흔한 것은 망막색소 변성증이다.
② 망막 안쪽의 감각신경층과 바깥의 색소 상피층 사이가 떨어지는 질환을
망막박리증이라고 한다.
③ 망막모세포증은 악성종양이다.
④ 고도의 근시, 외상에 의해 망막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8. 다음 백내장의 설명중 틀린 것은?
① 백내장이란 수정체의 혼탁이 일어난 것이다.
② 대부분 시력이 서서히 떨어지고 사물이 노랗게 혹은 흐리게, 찌그러져 보
인다.
③ 치료를 위해 고도 근시용 안경을 착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④ 60세 이상의 경우 원인 모르게 진행하는 노인성 백내장을 관찰할 수 있다.
9. 노안동 근거리 시력 저하시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기 위한 알맞은 측절 거리
는?
① 36cm
② 46cm
③ 56cm
④ 66cm
10. 다음 설명중 잘못된 것은?
① 생계유지를 못할 정도의 시력을 사회맹이라고 한다.
② 대광반사에 반응하지 않고 근접반사에서 축동이 일어나며 홍채 위축이 동
반되어 동공모양이 둥글지 않은 경우를 아르길-로버트슨 동공이라고 한다.
③ 근무력중에 의해 안검하수증이 올 수 있다.
④ 원추 각막은 사춘기의 여자에게 많으며 각막의 중심부가 진행성으로 서서
히 얇아져서 앞쪽을 향해 돌출하는 질환이다.
11. 고막의 진동을 내이로 전달하여 추골, 첨골, 등골로 구성되어있는 기관은?
① 이관
② 와우관
③ 난원창
④ 이소골
12. 내이의 골절 소견이 없이 와우나 전정기능이 일시적으로 소실되며 안정제 투
여등 대증 요법으로 치료하는 것은?
① 고막천공
② 미로진탕
③ 중이염
④ 메니에르병
13. 소리의 단위로서 소리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의 표시단위는?
① MHz ② Hz
③ dB ④ Byte
14. 내림프수종에 의한 현기증, 난청, 이명과 이충만감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
로 내림프의 순환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은?
① 고막천공 ② 미로진탕
③ 중이염 ④ 메니에르병
15. 중이의 이소골이 석회화 또는 경직되어 나타나 질환은?
① 중이염 ② 와이도염
③ 진주종 ④ 이경화증
16.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① 이경화증은 내이의 석회화와 경직을 말하며 유전장애로 여성에게 많다
② 만성 중이염이 지속되면서 귀아래쪽의 유동과 유세포에 염증이 발생한 상
태를 유양돌기염이라고 한다.
③ 비중격이 휘어져 있는 경우 코막힘 증이 발생한다.
④ 부비동염은 흔히들 축농증이라고도 한다.
17. 우리나라에서 알레르리성 비염의 가장 흔한 원인 항원은?
① 꽃가루 ② 개털
③ 집먼지 진드기 ④ 곰팡이
18. 소음 노출에 의한 청력 손실에 영향을 주는 것은?
가. 노출기간 나. 소음종류 다. 소음강도 라. 개인적 감수성 |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