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정상 소변에서 검출되는 것은?
① 단백질
② 포도당
③ 혈
④ 크레아티닌
2. 외상 후 수주 후에 서서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질환으로 경막과 지주막 사이에
정맥이 손상을 받아 출혈이 되어 혈종을 만드는 질환은?
① 뇌경색
② 뇌출혈
③ 만성경막하혈종
④ 지주막하출혈
3. 비타민 B12나 엽산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빈혈은?
① 용혈성 빈혈
② 악성 빈혈
③ 재생불량성 빈혈
④ 철결핍성 빈혈
4. 다음은 저산소증에 대한 생리적 반응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적혈구수 증가증
② 과다호흡
③ 심장 박출량 증가
④ 전신 동맥혈과 수축
5.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의 위험이 증가되는 상황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여성
② 비만증
③ 육체적 비활동성
④ 흡연
6. 척추의 운동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① 척추는 운동의 방향과 정도는 후방 관절면의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② 경추는 굴곡,신전,측굴,회전 운동이 용이하다.
③ 흉추는 굴곡,신전 운동은 가능하나 회전,측굴 운동에 제한을 받는다.
④ 요추는 굴곡,신전,츨굴 운동은 용이하나 회전 운동에 제한을 받는다.
7. 견봉 쇄골 관절의 수직 안정성에 가장 많이 관여하는 인대는?
① 오구 쇄골 인대
② 견봉 쇄골 인대
③ 오구 견봉 인대
④ 흉쇄 인대
8 다음 뇌신경중 운동 및 지각신경을 모두 갖고 있는 것은?
① 외전신경
② 청신경
③ 동안신경
④ 미주신경
9. 두부손상을 받고 내원한 환자에게 통증자극을 주었을 때 관찰된 다음 운동반응 중
가장 좋은 예후가 예상되는 경우는?
① 사지가 뻗치는 반응을 보임(Abnormal extensor response)
② 통증 자극을 주면 이를 손으로 치우려고 함(localized to pain)
③ 통증 자극을 주면 뒤로 움츠려 들음(withdraws to pain)
④ 사지를 구부리는 동작을 취함(Abnormal flexor response)
10. 67세 남자환자가 눈길에서 넘어진 후 사지 부전마비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하지는
보행이 가능할 정도의 경도의 마비만 관찰되었으나 상지는 심한 운동장애의 소견을
보였으며 방사선 검사상 심한 경추의 퇴행성 협착증의 소견을 보였다. 이 환자에게
가장 가능성이 많은 진단 명은?
① 전척수증후군(anterior cord syndrome)
② Brown-Sequard syndrome
③ 후척수증후군(posterior cord syndrome)
④ 중심척수 증후군(central cord syndrome)
11. 제 7경추의 해부학적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목뒤에서 극돌기가 촉지 된다.
② 융추라고도 한다.
③ 늑골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④ 추골동맥이 지나간다.
12. 척수손상 중 전척수 동맥 증후군(anterior spinal cord syndrome)에 대한 아래의 설
명중 옳은 것은?
① 상지가 하지보다 심한 마비를 보인다.
② 전척수동맥의 차단으로 척수 전방 2/3의 손상이 발생한다.
③ 감각신경은 소실되나, 운동신경은 손상을 받지 않는다.
④ 손상을 당한 동측의 운동장해와 반대측의 통각의 손실을 보인다.
13. 신경계 검사에서 주로 시행하는 CT와 MRI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옳은 것은?
① MRI는 신경조직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시상면상(sagittal image)
를 얻을 수 없다.
② 골조직(bone)은 MRI보다 CT에서 더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③ CT검사는 강한 자장을 형성하여 체내의 수소 원자핵의 분포를 영상으로 나타내
는 검사이다.
④ 척추 손상시 주변 인대의 손상여부는 MRI보다 CT검사에서 더 잘 보인다.
14. 다음 중 견관절의 외전을 주로 담당하는 근육은?
① 삼각근과 오구완근
② 광배근과 대원형근
③ 삼각근과 극상근
④ 극하근과 소원형근
15. 다음 수근골 근위열의 무지에서부터 배열순서가 맞게 연결된 것은?
① 주상골-삼각골-월상골=두상골
② 삼각골-주상골-두상골-월상골
③ 주상골-월상골-삼각골-두상골
④ 주상골-두상골-월상골-삼각골
16. 오염된 경골 개방성 골절로 내원당일 외고정술 시행 후 2주째에 안면의 경직성 경
련, 후경부 경적,호흡 곤란을 호소하였다.환자의 진단으로 가장 의심 되는 것은?
① 폐 색전증
② 파상풍
③ 지방 색전증
④ 가스 괴저
17. 일측 피질 공의 연속성만 파괴된 경우 나타날 수 있는 골절이나 현상이 아닌 것은?
① 녹색 줄기 골절(greenstick fracture)
② 융기 골절(torus fracture)
③ 나비형 골편(butterfly fragment)
④ 탄력성 소성 변형(plastic degormity)
18. 경골(tibla) 간부 골절 시 사용할 수 있는 부목의 종류는?
① 단하지 석고 부목
② 장하지 석고 부목
③ U형 석고 부목
④ 실린더형 서고 부목
19. 견관절 탈구의 모식도이다. 다음의 상태를 정복할 때 가장 손상 받기 쉬운 신경은?
① 액와 신경
② 정중 신경
③ 척골 신경
④ 요골 신경
20. 원위 요골 골절 중 골절의 이름과 이 골절을 정복하여 석고 부목을 이용하여 고정
할 때 권장되는 위치의 조합 중 맞는 것은?
① Colles 골절, 전방 굴곡 - 척측 변위 - 중립 회전위
② Smith 골절, 전방 굴곡- 척측 변위 - 중립 회전위
③ Colles 골절, 후방 굴곡 - 척측 변위 - 중립 회전위
④ Smith 골절, 후방 굴곡 - 척측 변위 - 중립 회전위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