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종양 표시자와 그와 연관된 암과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① 간암 - AFP
② 전립선암 - PSA
③ 대장암등의 소화기암 - CEA
④ 췌장암 - CA125
2. 다음 중 유방암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우리나라에서는 유방암의 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여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위암 다음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②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는 서양에서는 40~50대가 주로 발생하는 것과 달리 30대
부터 발생률의 증가를 보인다.
③ 유방암의 조기검진을 위하여 30대부터는 2년마다 유방초음파나 유방촬영술 등의
검진을 하도록 권유하고 있다.
④ 유방암은 가족력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뇌졸중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일과성 허혈 발작의 경우 뇌혈류의 일시적인 감소와 미세색전에 의해 발생되며
② 뇌경색의 경우 나이,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흡연, 고지혈증 등의 위험요인을
가지고 위험도 평가를 할수 있다.
③ 뇌출혈의 경우 뇌내출혈이 지주막하 출혈보다 출혈의 양이 적더라도 위험성은 높다.
④ 뇌출혈의 주된 원인인 뇌동맥류의 치료는 현재까지는 원인질환인 고혈압 조절 외
에는 없는 상태이다.
4. 다음 중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만성 B형 간염보균자로 남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는?
① 주산기 감염(출산시)
② 소아기 감염(10세 이하)
③ 청년기 감염(20세에서 30세)
④ 노인기 감염(65세)
5. 다음 중 대사성증후군의 진단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남성에서 허리둘레 90cm이상
② 공복시 혈당 110mg/dL이상
③ LDLzhffptmxpfmf 130mg/dL이상
④ 혈압 130/85mmHg이상
6. 요실금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요실금의 종류는?
① 복압성 요실금
② 절박성 요실금
③ 심인성 요실금
④ 진성 요실금
7. 자궁내막증(endometriosis)의 가장 흔한 호발 부위는?
① 나팔관
② 복강내 장기
③ 자궁외벽
④ 난소
8. 한 개인에서 소아부터 어른까지 나이가 변해감에 따라 알레르기질환이 달라지는 것
을 알레르기 행진(allergic march)이라고 한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질환은?
① 기관지 천식
② 접촉성 피부염
③ 알레르기성 비염
④ 아토피성 피부염
9.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를 중단하였을 때 나타나는 금단 현상인 진전 섬망의 특징적인
3가지 증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의식의 혼탁과 혼동
② 심한 우울증세
③ 환시등의 지각능력 장애
④ 불규칙적인 진전
10. 위암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조기위암과 진행성위암은 암이 정막 등에 침윤이 되어있는 정도에 의해 나누어
진다.
② 위암은 내시경으로 조기발견하면 항암치료가 일차적치료이다.
③ 조기위암인 경우에는 암으 침윤이 되어있는 정도가 적기 때문에 림프절 전이가
없다.
④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폐암, 간암에 이어 3번째로 많이 발병하는 암이다.
11. 무증상 세균뇨가 보일 경우 꼭 치료해야 하는 상황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임산부
② 면역저하환자
③ 폐경 후 여성
④ 방광경 검사예정환자
12. 다음 중 급성 췌장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과량의 알코올 섭취 즉 과도한 음주가 가장 흔한 원인이다.
② 상복부 통증이 흔하게 생긴다.
③ 치료 중에는 금주가 원칙이고 소화에 부담이 없는 식사를 치료기간동안 유지해야
한다.
④ 대부분이 정상회복되고, 반복적으로 생길 경우에 일부 만성 췌장염으로 진행하게
된다.
13. 다음 녹내장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녹내장은 안압이 높아서 생기는 질병이므로 안압이 높지 않다면 녹내장이 아니
다.
② 급성 녹내장의 경우 갑자기 안압이 상승하므로 심한 안통과 구역, 구토가 생길
수 있다.
③ 안압이 상승하면 수정체에 변성을 일으켜 혼탁해짐으로 시야 결손이 생긴다.
④ 높은 안압 때문에 안구가 커져서 안구함몰이 생기게 된다.
14. 두부외상 후 별다른 증상이 없는 명료기(lucid interval)를 가지며 주로 두개골 골절
과 함게 동반하는 질환으로 brain CT상에서 특징적인 국소부위에 국한된 렌즈모양
병변을 보이는 질환은 무엇인가?
① 뇌진탕
② 경막외출혈
③ 뇌경색
④ 지주막하출혈
15. 수근관 증후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정중신경이 포착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② 반복적인 관절사용이나 진동기구 사용, 잘못된 자세로 잠을 자는 등의 상황에서
발생한다.
③ 엄지, 집게, 중지, 막지의 요측부분의 감각저하나 소실이 생긴다.
④ 감각저하만 있고 저린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적이다.
16. 갑자기 생긴 죽을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으로 빈맥과 심계항진 호흡곤란이 생기며
이러한 시간이 지나간 후에도 예기불안으로 인하여 신경과민 증상이 있고 광장공포증(a
goraphobia)이 잘 동반되는 질환은 무엇인가?
① 공항장애
② 우울증
③ 양극성 장애
④ 정신분열증
17. 혈변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밝은 선홍색피가 나는 경우는 검붉은 피가 나는 경우에 비하여 주로 병소가 상부
위장관쪽에 있음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② 성인의 경우 치질, 치루 등에 의한 출혈이 많다.
③ 다량의 출혈이 있을 경우 혈압강하, 빈맥 등의 소견도 나타난다.
④ 철분제를 먹을 경우 대변색이 변하여 출혈로 오인할 수 있다.
18. 다음 보기 중 일반적으로 황달이 잘 생기는 상황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A. 용혈성 빈혈 B. 급성 간염 C. 췌장두부암 D. 간혈관종 |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