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몸의 전면부를 전(anterior)이라 하고, 후면부를 후(posterior)라 한다.
② 손바닥, 발바닥쪽 장측(palmar)이라 하고, 손등 발등쪽을 배측(dorsal)이라 한다.
③ 체표면에서 가까운 쪽을 천층(superfical)이라 하고, 체표면에서 더 깊은 곳을 심층(deep)이라 한다.
④ 체간에서 가까운 쪽을 원위(distal)라고 하고, 체간에서 면쪽을 근위(proximal) 라고 한다.
해설 : 체간에서 가까운 쪽이 근위이고, 먼 쪽이 원위이다.
3.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내전은 사지가 인체에서 멀어지는 운동이다.
② 회외는 손등이 앞이나 위를 향하게 하는 운동이다.
③ 신전은 두 개의 뼈가 각이 증가해 서로 멀어지는 운동이다.
④ 내번은 발바닥이 외측으로 향하게 하는 운동이다.
해설 : 내전은 사지가 인체에서 가까워지는 운동이고, 회외는 손바닥이 앞이나 위를 향하게 하는 운동이고, 내번은 발바닥이 내측으로 향하게 하는 운동이다.
4. 체부의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볼록한 것으로 옳게 묶인 것은?
① 돌기, 지, 결절
② 지, 상과, 소와
③ 극, 공, 강
④ 소와, 광, 동
해설 : 볼록한 것은 돌기, 지, 결절, 과, 상과, 극, 전자, 두 이고 오목한 것은 와, 소와, 구, 곰, 관, 강, 동, 압흔이다.
5. 다음 중 골격계의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연조직을 지탱해 주는 뼈대 역할을 하여 신체를 지지한다.
② 생명유지에 필요한 기관들을 보호한다.
③ 인체의 향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④ 뼈에 근육을 부착시켜 각종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해설 : 인체의 향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근육계의 기능이다.
6. 다음 중 뼈의 구성성분이 아닌 것은?
① 유기질
② 무기질
③ 수분
④ 수은
해설 : 뼈는 유기질 35%. 무기질 45%. 수분20%로 구성되어 있다.
7. 다음은 연골조직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연골조직은 특수한 섬유성 결합조직이다.
② 몸의 여러 부위에서 지지적 역할을 하며, 뼈의 성장에 관여한다.
③ 연골은 연골기질, 연골세포, 연골막에 싸여 있다.
④ 연골기질 속에는 혈관과 신경이 풍부하다.
해설 : 연골기질 속에는 혈관이나 신경이 없어 산소나 영양분의 공급능 확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8. 연골의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초자연골은 연골 중 가장 단단하다.
② 탄력성 연골은 노화가 잘 일어난다.
③ 섬유연골은 특히 힘을 받는 관절주위나 관절간판으로 질기고 강하다.
④ 초자연골은 인체에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다.
해설 : 초자연골과 섬유연골은 노화가 잘 일어나지만, 탄력성 연골은 노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9. 뼈를 모양에 따라 분류하는 경우, 장골에 속하지 않는 뼈는?
① 상완골
② 요골
③ 척골
④ 접형골
해설 :접형골은 두개골로 중두개와를 이루고 불규칙 뼈이면서 공기 뼈이다.
10. 뼈를 모양에 따라 분류하는 경우, 단골에 속하지 않는 뼈는?
① 수근골
② 족근골
③ 중수골
④ 슬개골
해설 : 슬개골은 인체에서 가장 큰 종자골이다.
11. 다음 중 섬유연골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은?
① 코중격
② 추간원판
③ 치골결합
④ 관절원판
해설 : 코중격 늑연골 기관의 연골 뼈의 관절연골은 초자연골이다.
12. 장골의 구조에 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뼈의 관절두에 있는 연골을 관절연골이라 한다.
② 골수강은 골수로 채워져 있다.
③ 골수강 내벽을 싸고 있는 얇은 결합조직층을 골내막이라 한다.
④ 장골의 양쪽 끝부위를 골간이라 한다.
해설 : 골간은 골단과 골단 사이를 말하고, 골단은 장골의 양쪽 끝 부위를 말한다.
13. 뼈를 구성하는 구조물에 관한 설명이다. 이 중 옳은 것은?
① 해면뼈는 표면을 덮는 두껍고 튼튼한 뼈이다.
② 해면뼈는 Havers관(중심관)이 기본단위이다.
③ 치밀뼈는 스폰지처럼 얇은 골로 골의 안쪽을 차지한다.
④ 치밀뼈는 표층은 골막이 싸고 있다.
해설 : 치밀뼈의 표층은 골막(=골외막)이 싸고 있다.
14. 뼈를 만드는 역할을 하고, 뼈의 영양과 두께성장에 관여하여, 골절 시 재생에 관여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골막
② 골단판
③ 골수
④ 연골
15. 골단과 골단사이에 있고 뼈의 길이성장에 관여하고 주로 소아의 뼈에서 볼 수 있는 것은?
① 골막
② 골단판
③ 골수
④ 연골
16.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연골의 원형이 만들어지지 않고 간엽막을 형성하는 치밀결합조직의 Ca++염이 침착되어 골조직을 만드는 것은 막내골화이다.
② 연골모양의 뼈가 만들어져 연골이 성장발달하는 동안에 점차로 연골이 뼈로 대치되는 과정은 연골내골화이다.
③ 막내골화는 뼈의 굵기 성장에 관여한다.
④ 두개골의 편평골은 연골내 골화에 의해 형성된다.
해설 : 두개골의 편평골은 막내골화에 의해 형성된다.
17. 인체의 뼈는 모두 몇 개인가?
① 62개
② 64개
③ 80개
④ 206개
해설 : 몸통골격은 80개. 상지골은 64개. 하지골격은 62개로 총 206개이다.
18. 뇌두개골은 몇 종 몇 개인가?
① 4종 6개
② 6종 8개
③ 9종 15개
④ 15종 23개
19. 뇌두개골이 아닌 것은?
① 전두골
② 서골
③ 접형골
④ 사골
해설 : 뇌두개골은 6종 8개로 두정골, 측두골, 전두골, 후두골, 접형골, 사골로 구성되어 있다.
20. 다음 중 안면골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기출)
① 접형골
② 비골
③ 누골
④ 상악골
해설 : 안면골은 9종 15개로 비골, 누골, 하비갑개, 상악골, 협골, 구개골, 하악골, 서골, 설골로 구성되어 있다.
1. 상완골간부 하 ⅓ 골절시 손상될 수 있는 신경은?
① 요골신경
② 척골신경
③ 정중신경
④ 근피신경
2. 견관절찰구 치료 후 견관절 외측(측빙거상)에 제한이 왔을 때 손상이 의심되는 신경은?
① 요골신경
② 척골신경
③ 액와신경
④ 정중신경
3. 비골손상시 나타나는 특징적 증상은?
① 슬관절 신전 불가
② 척골신경
③ 액와신경
④ 정중신경
4. 상지의 모든 신근을 지배하여 지배범위가 가장 넓고, 상완, 전완 및 손등의 피부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은?
① 요골신경
② 척골신경
③ 정중신경
④ 근피신경
해설 : 상지의 모든 신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요골신경이다.
5. 다음 중 신경마비와 신경마비시의 증상을 옳게 짝지은 것은?
① 요골신경 마비시 - 원숭이손
② 척골신경 마비시 - 독수리손
③ 정중신경 마비시 - 하수손
④ 액와신경 마비시 - 독수리손
해설 : 요골신경 마비시는 하수손, 척골신경 마비시는 독수리손, 정중신경 마비시는 원숭이손이 나타난다.
6. 말초신경 중에서 전완의 굴근 대부분을 지배하고 무지구근과 외측충양근, 그 곁의 피부에 분포하는 신경은?
① 근피신경
② 정중신경
③ 요골신경
④ 척골신경
7. 요신경총에서 시작되어 서혜인대 아래를 지나 대퇴전면에 있는 근육과 피부를 지배하고 고관절 운동에 관여하는 봉공근과 대퇴사두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① 폐쇄신경
② 좌골신경
③ 대퇴신경
④ 총비골신경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