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뇌두개골 중 쌍으로 구성된 뼈는?
① 두정골 측두골
② 두정골 전두골
③ 측두골 전두골
④ 후두골 접형골
해설 : 두정골과 측두골은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안면골 중 1개로 구성된 뼈가 아닌 것은?
① 누골
② 하악골
③ 서골
④ 설골
해설 : 안면골증 하악골 서골 설골은 1개로 구성되어 있다.
3. 다음 중 비강과 눈오목 사이에 있는 입방형 모양의 뼈로, 수직판과 사골판, 사골미로로 구성된 뼈는 무엇인가?
① 두정골
② 측두골
③ 사골
④ 서골
4. 다음 중 상악골의 4개의 돌기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전두돌기
② 후두돌기
③ 협골돌기
④ 치조돌기
해설 : 상악골은 1개의 체와 전두 협골 구개 치조돌기로 구성되어 있고 체의 가운데에 상악동이 존재한다.
5. 혀의 바로 아래에 있는 작은 뼈로 다른 뼈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뼈는 무엇인가?
① 상악골
② 하악골
③ 서골
④ 설골
6. 신생아의 천문 중 전두골 측두골 접형골 사이에 있는 천문으로 양측에 있는 것은 무엇인가?
① 대천문
② 소천문
③ 전측두천문
④ 후측두천문
해설 : 전도골 두정골 측두골 접형골 사이의 천문은 전측두천문이고 두정골 측두골 후두골 사이에 있는 천문은 후측두천문이다.
7. 신생아의 천문 중 좌우 전두골과 두정골 사이 마름모꼴의 천문은 무엇인가?
① 대천문
② 소천문
③ 전측두천문
④ 후측두천문
해설 : 좌우 전두골과 두정골 사이의 천문은대천문이고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의 천문은 소천문 이다.
8. 다음 중 두정골과 전두골 사이의 봉합은 무엇인가?
① 관상봉합
② 시상봉합
③ 인자봉합
④ 인상봉합
해설 : 두정골과 전두골 사이의 봉합은 관상봉합이라 한다.
9. 다음 중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의 봉합은 무엇인가?
① 관상봉합
② 시상봉합
③ 인자봉합
④ 인상봉합
해설 : 두정골과 후두골 사이의 봉합은 인자봉합(삼각봉합=람다봉합)이라 한다.
10. 다음중 두정골과 두정골 사시의 봉합은 무엇인가?
① 관상봉합
② 시상봉합
③ 인자봉합
④ 인상봉합
해설 : 두정골과 두정골 사이의 봉합은 시상봉합이라 한다.
11. 다음 중 안와를 구성하는 뼈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① 전두골
② 사골과 누골
③ 협골과 접형골
④ 구개골과 하악골
해설 : 안와를 구성하는 뼈는 총 7개로 안와의 지붕은 전두골. 안와의 중심벽은 사골과 누골. 안와의 외측벽은 협골과 접형골. 안와의 저면은 구개골과 상악골로 구성되어 있다.
12. 다음의 부비동 중에서 가장 큰 것은?
① 상악동
② 전두동
③ 사골동
④ 접형골동
13. 정상인의 경추는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는가?(기출)
① 5개
② 7개
③ 8개
④ 12개
14. 정상인의 흉추는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는가?(기출)
① 5개
② 7개
③ 8개
④ 12개
15. 정상인의 요추는 몇 개로 구성되어 있는가?(기출)
① 5개
② 7개
③ 8개
④ 12개
16. 다음 중 가동추골이 아닌 것은?
① 경추골
② 요추골
③ 흉추골
④ 천골
해설 : 경추골과 흉추골, 요추골은 가동추골이고 천골과 미골은 고정추골이다.
17. 척추가 전만된 것으로 옳게 짝지워진 것은?
① 경추골, 요추골
② 경추골, 흉추골
③ 요추골, 흉추골
④ 흉추골, 천추골
해설 : 경추골, 요추골은 전만되어 있고, 흉추골과 천추골은 후만되어 있다.
18. 태생 땡 이미 만곡된 경우를 선천성 만곡이라 한다. 다음 중 어느 추골인가?
① 경추골, 요추골
② 경추골, 흉추골
③ 흉추골, 천추골
④ 요추골, 천추골
해설 : 선천성 만곡은 흉추와 천추이고. 대상성 만곡은 경추골과 요추골이다.
19. 추골의 구종 중에서 척수가 통과하는 부위는?
① 추체
② 추공
③ 추궁
④ 극돌기
해설 : 추공(vertebral foramen)은 척수가 통과하는 부위이다.
20. 추궁은 3종 7개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쌍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돌기는?
① 횡돌기
② 상관절돌기
④ 하관절돌기
④ 극돌기
해설 : 상, 하관절돌기와 횡돌기는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극돌기만 1개로 이루어져 있다.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