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손해사정연구

게시글 검색
제3종 의학이론 상해 기출 및 예상문제(11)
최고관리자 <admin@domain> 조회수:918 119.149.102.136
2010-08-07 09:06:57

1. 다음 중 골이식수술을 시행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기출)

① 관절유합시에 시행한다.
② 골절부위의 고정이나 치환을 목적으로 시행한다.
섬유성 연골생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시행한다.
④ 골유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시행한다.

2. 골이식은 채취되는 근원에 따라 분류된다. 이 중 골형성에 가장 좋은 방법은?(기출)

자가골 이식
② 동종골 이식
③ 이종골 이식
④ 타가골 이식

3. 골이식 때 가장 흔히 이용되는 공여골의 부위는?

① 대퇴골과 경골
장골과 경골
③ 상완골과 대퇴골
④ 장골과 대퇴골

해설 : 공여골로는 장골이 가장 흔히 이용되고 그 다음 경골, 비골 등을 이용한다.

4. 골절의 불유합 X-ray상 나타나는 소견은?(기출)

둥글고 진하다.
② 가골이 보이고 섬유성결합이 보인다.
③ 가관절을 형성하지 않는다.
④ 골절선이 날카롭다.

5. 골절의 불유합 초래 원인으로 가장 중요한 원인은?(기출)

불완전 고정
② 골절부의 화농
③ 불충분한 고정기간
④ 연부조직의 골절편간 개입

6. 장골 중에서 가장 유합이 잘 되지 않는 골은?(기출)

① 상완골
② 대퇴골
 경골
④ 비골

해설 : 경골부위는 불유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로, 장골(long bone)중에서 가장 유합이 잘되지 않는다.

7. 다음은 골절의 합병증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옳은 것은?

불유합이란 골절의 유합이 전혀 안 되는 경우를 말한다.
② 부정유합이란 유합은 진행되고 있으나 정상적인 유합기간보다 장기간 소요되는 것이다.
③ 지연유합이란 골절된 골편이 해부학적 위치가 아닌 비정상적 위치에서 유합된 상태이다.
④ 불유합이란 최소 3개월이 지나도록 골유합의 진행과정이 정지된 경우를 의미한다.

8. 다음 중 불유합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개방성 골절
충분한 혈액공급
③ 분쇄골절
④ 불완전 고정

9. 다음 중 불유합의 치료 방법이 아닌 것은?

① 골수강내 금속정 내고정술
② 압박금속판 및 금속나사 내고정술
③ 골이식술 및 외고정
불유합 부위 주변의 관절변형에 대한 수술

해설 : 불유합 부위 주변의 관절변형에 대한 수술은 가급적 불유합의 완전한 치료 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10. 다음 중 부정유합의 대표적인 형태가 아닌 것은?

① 지단축
② 회전변형
③ 각형성
지연유합

11. 다음은 지단축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지단축은 기능상 하지보다 상지의 손실이 더 크다.
② 소아의 골단손상으로 성장판이 손상된 경우나 강한 외력에 의해 골편이 심히 분쇄되었거나 체외로 상실된 경우에 생긴다.
③ 하지의 단축은 파행((=보행장애)를 일으킨다.
④ 경미한 경우에는 구두 뒤축의 조정으로 가능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한다.

해설 : 지단축은 기능상 상지보다 하지의 손실이 크다.

12. 다음과 같은 다리의 단축의 있을 경우 어느 길이 정도부터 파행이 발생하는가?(기출)

1.5cm이상
② 2.5cm이상
③ 3.5cm이상
④ 4.5cm이상

13. 다음은 부정유합의 치료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부정유합의 교정수술은 기능회복과 기형을 교정하기 위해서이다.
② 외관상 변형의 정도와 기능의 장애는 비례하여 거의 일치한다.
③ 소아의 회전변형이 있는 경우에 교정수술은 성장에 따른 자연교정을 지켜보면서 수술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④ 교정수술은 골유합 후 6-12개월이 경과한 후가 좋다.

해설 : 외관상 변형의 정도와 기능의 장애는 항상 비례하여 일치하지는 않는다.

14. 다음 중 골절의 전신적 합병증이 아닌 것은?(기출)

신경손상
② 심폐정지
③ 가스괴저
④ 지방색전증

해설 : 골절은 전신적 합병증에는 쇼크, 심폐정지, 지방색전증, 가스괴저, 파상풍, 심부정맥 혈전 증 및 폐색전증, 압좌 증후군, 출혈이 있다.

15. 다음 중 골절의 국소적 합병증이 아닌 것은?

① 불유합
② 이소성 골형성
심부정맥 혈전증
④ 무혈성 괴사

해설 : 골절의 국소적 합병증에는 불유합, 부정유합, 지연유합, 구획증후군, 무혈성괴사, 이소성골형성, 외상후 골위축, 재골절, 후외상성 관절염, 관절강직, 습관성 탈구, 국소감역, 신경손상이 있다.

16. 다음은 골절의 합병증인 구획증후군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구획증후군이란 골절시 어느 구획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구획내의 혈액순환과 기능에 장애가 오는 증상을 말한다.
② 구획증후군시 동맥과 신경이 압박을 받아 조직이 괴사되어 근육기능이 상실되고, 팔다리에 마비를 초래한다.
③ 소아 상완골 과상골절의 Volkmann허혈증이 구획증후군에 속한다.
치료는 수술적 요법보다는 주로 보존적 요법을 선호한다.

해설 : 치료는 응급수술로 구획의 압력을 떨어뜨리는 것이 중요하다.

17. 무혈성 괴사가 호발하는 부위가 아닌 것은?

① 대퇴골
② 거골
③ 주상골
경골

해설 : 구획의 압력이 30mmHg 이상인 경우에는 응급수술로 구획의 압력을 떨어뜨리는 것이 중요하다.

18. 이소성 골형성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이소성 골형성시 골절이나 탈구 3~4주 이내에 방사선 소견상 근육내 석회침착을 볼 수 있다.
② 이소성 골형성의 호발부위는 견관절 , 주관절 및 고관절이다.
② 이 질환으로 인해 기능적 장애가 생기면 화골부위를 제거하는 수술을 해야 한다.
수술 시기는 발견 즉시가 좋다.

해설 : 화골의 성장이 완전히 멈추고 완전 성숙되면 제거 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

19. 다음은 외상후 골위축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외상후 골위축이란 골절손상의 정도에 관계없이 지속적이고 심한 동통이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보통 증상은 골절이나 관절 손상이 생긴 직후에 나타난다.
③ 치료보다는 조기에 관절운동을 권장하는 것이 좋다.
④ 상, 하지 손상의 2~3%에서 발생한다.

해설 : 증상은 골절이나 관절손상의 회복직후에 발생한다.

20. 다음은 재골절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내고정 금속을 제거한 후 제거한 구멍이 골강도를 약화시켜 발생한다.
② 약 3~4%에서 재골절이 발생한다.
금속제거 수술 후 적어도 4주간은 상지의 경우 비체중 부하 보행을 시켜야 한다.
④ 재골절의 경우, 골절에 준하여 다시 치료에 들어가야 한다.

해설 : 상지의 경우 무거운 물건을 들어서는 안되고 하지의 경우 4주간은 비체중 부하 보행을 시켜야 한다.

댓글[0]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