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상동공의 크기는 양측 직경이 같아야 하는데 1mm이상 차이가 날 때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이상 동공등
② 동공부동증
③ 산동증
④ 축동증
2. 다음은 두부의 신경학적 검사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뇌간반사의 소실은 예후가 좋은 편이다.
② 뇌간반사를 보는 방법은 안구두부반사와 안구전정반사가 있다.
③ 뇌손상에 의한 운동기능 장애는 대부분 반측마비이다.
④ 뇌손상시 양측상지나 양측하지의 마비가 있는 경우는 두부외상보다는 척추손상을 의심해야 한다.
해설 : 뇌간반사의 소실은 예후가 극히 나쁘다.
3. 다음의 두부손상 진단방법 중 전산화 단층촬영보다 뇌실질의 병변을 더욱 민감하게 보여주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주파를 이용하여 인체 주위에 강한 자장을 형성하여 체내에 있는 수소 원자핵의 분포를 영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① 단순 두개방사선촬영
② 자기공명영상
③ 뇌혈관 조영술
④ 뇌파검사
4. 다음 중 두피의 구조를 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표피, 피하층, 모상건막, 소성조직, 두개골막
② 표피, 피하층, 소성조직, 모상건막, 두개골막
③ 두개골막, 표피, 피하층, 모상건막, 소성조직
④ 두개골막, 표피, 피하층, 소성조직, 모상건막
해설 : 두피는 외측으로부터 표피, 피하층, 모상건막, 고성조직, 두개골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5. 다음 중 두피를 구성하는 연부조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표피
② 모상건막
③ 지주막
④ 두개골막
해설 : 지주막은 뇌막중 중간막이다.
6. 다음 중 두피의 연부조직 중에서 혈관과 지방질이 많아 출혈의 가능성이 높고 피부의 부속 구조물을 포함하는 층은?
① 표피
② 피하층
③ 모상건막
④ 소성조직
7. 다음 중 두피의 조직 중에서 가장 질긴 층으로 유동성이 크며 이 부위가 파열되면 상처가 벌어지게 되는 부위는?
① 표피
② 피하층
③ 모상건막
④ 소성조직
8. 다음 중 두피의 조직 중에서 성긴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거 두피가 쉽게 분리되는 부위는?
① 표피
② 피하층
③ 모상건막
④ 소성조직
9. 다음 중 두피의 조직 중에서 골 재생능력이 거의 없는 부위로 두개골 각 부위의 외판을 따라 두개봉합선까지 밀착된 부위는?
① 두개골막
② 피하층
③ 모상건막
④ 소성조직
10. 다음의 두피손상 중 모상건막과 골막 사이의 혈종으로 보통 수주 이내에 소실되는 것은?
① 모상건막하 혈종
② 골막하 혈종
③ 두피절창
④ 두피염제
11. 다음의 두피손상 중 폐쇄성 손상이 아닌 것은?
① 피하혈종
② 두피염제
③ 모상건막하 혈종
④ 골막하 혈종
해설 : 두피염제는 개방성손상이다.
12. 다음의 두피손상 중 모상건막과 골막 사이의 소성조직층에서 두피가 떨어져 나간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두피절창
② 두피자창
③ 두피염제
④ 두피관통창
13. 다음의 두피손상 중 두개골 골절과 잘 동반되는 혈종은?
① 피하혈종
② 두피염제
③ 모상건막하 혈종
④ 골막하 혈종
14. 다음 중 두피의 외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피하혈종
② 경막외 혈종
③ 모상건막하 혈종
④ 골막하 혈종
해설 : 경막외 혈종은 두개강내 출혈의 종류이다.
15. 다음 중 두피에 발생하는 혈종에 해당하는 것은?(기출)
① 경막하혈종
② 경막외혈종
③ 뇌내혈종
④ 모성건막하 혈종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