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뇌진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뇌의 모든 기능이 일시적으로 중단 되었다가 곧 완전 회복 된다.
② 뇌조직이 괴사된다.
③ 뇌실질내에 출혈이 일어난다.
④ 뇌부종이 동반된다.
해설 :뇌조직의 괴사, 뇌실질내의 출혈, 뇌부종은 뇌좌상 때의 증상이다.
2. 뇌손상으로 뇌실질내에 출혈을 일으키고 뇌조직에 괴사를 일으키며 동시에 뇌부종이 동반되어 두개강내압이 상승하여 의식상실이 수 분 이상 지속되고 때로는 수시간, 수일간 혼수상태에 빠지는 중증도의 뇌손상은?
① 미만성 축삭손상
② 뇌열창
③ 뇌진탕
④ 뇌좌상
3. 뇌좌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뇌실질에 점상출혈을 나타낸다.
② 뇌부종을 동반한다.
③ 일시적으로 뇌의 모든 기능이 중단된 후 회복된다.
④ 뇌조직이 괴사된다.
해설 : 일시적으로 뇌의 모든 기능이 중단된 후 회복되는 것을 뇌진탕이다.
4. 다음 두부외상 중 가장 중한 손상은?
① 뇌진탕
② 뇌좌상
③ 두개골골절
④ 뇌열상
5. 두부외상 후 비가역적인 축삭의 손상으로 두부외상시 뚜렷한 뇌내 종괴병소 없이 수상직후부터 지속적으로 혼수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나?
① 뇌진탕
② 뇌좌상
③ 뇌열상
④ 미만성 축삭손상
6. 미만성 축삭 손상의 경우 진단은 주로 무엇을 이용하는가?
① 두개골 단순방사선 검사(skull plain radiography)
② 뇌전산화 단층촬영(CT scan)
③ 자기공명영상촬영(MRI)
④ 뇌실 조영술(Ventriculography)
7. 다음 중 두개강내 출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경막외혈종
② 경막하혈종
③ 뇌내혈종
④ 모상건막하혈종
해설 : 모상건막하 혈종은 두피손상에 해당된다.
8. 다음 중 두개강내 출혈에 해당되는 것은?
① 모상건막하혈종
② 두피하혈종
③ 골막하혈종
④ 경막외혈종
해설 : 경막외혈종은 두개강내출혈에 해당된다.
9. 다음 중 두개골과 경막 사이의 혈종은?
① 경막외혈종
② 경막하혈종
③ 지주막하출혈
④ 뇌내혈종
해설 : 두개골과 경막 사이의 혈종은 경막외 혈종이다.
10. 다음 중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혈종은?
① 경막외혈종
② 경막하혈종
③ 지주막하출혈
④ 뇌내혈종
해설 :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혈종은 경막하혈종이다.
11. 다음 중 두부손상시 가장 조속한 응급수술을 요하는 질환은?
① 경막외혈종
② 경막하혈종
③ 지주막하출혈
④ 뇌내혈종
12. 경막외혈종(Epidural hematoma)시 가장 흔히 파열되는 혈관은?
① 교정맥
② 뇌피질정맥
③ 뇌피질동맥
④ 경막동맥
13. 두부외상 후 의식명료기를 보인 환자의 두개골 단순 X-선 촬영상 중격막 혈관구를 횡단하는 골절이 보였다. 가능성이 가장 많은 진단명은?(기출)
① 뇌경막외혈종(epidural hematoma)
② 뇌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
③ 외상성 뇌내혈종(traumatic intracerebral hematoma)
④ 외상성 지주막하출혈(traumatic subarachnoid hematoma)
해설 : 경막외혈종에서는 중경막동맥이 쉽게 파열된다.
14. 의식명료기(Iucid interval)를 자주 볼 수 있는 진단명은?
① 뇌경막외혈종(epidural hematoma)
② 뇌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
③ 외상성 뇌내혈종(traumatic intracerebral hematoma)
④ 외상성 지주막하출혈(traumatic subarachnoid hematoma)
15. 흔히 중격막동맥의 파열로 발생하여 뇌 CT상 두개골 내면에 접한 고밀도이고 대개 양면으로 볼록한 렌즈모양으로 일정모양으로 국한되어 나타나는 진단명은?
① 뇌경막외혈종(epidural hematoma)
② 뇌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
③ 외상성 뇌내혈종(traumtic intracerebral hematoma)
④ 외상성 지주막하출혈(traumatic subarachnoid hematoma)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