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은 두개골 손상을 골절부위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두개관골절
② 두개저골절
③ 분쇄골절
④ 안면골골절
해설 : 분쇄골절은 골절모양에 따른 분류의 종류이다.
2. 다음은 두개골 손상을 골절모양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것은?
① 단순골절
② 복합골절
③ 개방성골절
④ 함몰골절
해설 : 두개골 손상을 골절모양에 따라 분류하면 선상골절, 함몰골절, 분쇄골절, 이개골절로 분류된다.
3. 다음의 두개골 골절 중 두개골 골절의 약 80%를 차지하며 단순 방사선 사진과 뇌전산화 단층촬영상 명확한 직선 또는 곡선의 저음영을 보이며 급격한 각을 이루거나 가지 치는 모양을 보이기도 하는 골절은?
① 선상골절
② 봉합이개골절
③ 함몰골절
④ 분쇄골절
해설 : 선상골절에 대한 설명이다.
4. 봉합이개골절은 외상에 의해 두개봉합선이 외상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말하고 특히 소아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 골절은 봉합선이 얼마 이상 벌어졌을 때를 말하는가?
① 2mm이상
② 3mm이상
③ 4mm이상
④ 5mm이상
5. 다음은 두개골 함몰골절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개방성 함몰골절은 합병증을 초래하므로 수술이 필요하다.
② 폐쇄성 함몰골절인 경우 뇌성장기의 소아에서는 수술이 좋지 않다.
③ 폐쇄성 함몰골절인 경우 성인은 5mm이상 함몰시 수술해야 한다.
④ 단순방사선 촬영상 이중음영이나 증가된 음영을 보인다.
해설 : 폐쇄성 함몰골절인 경우 뇌성자기의 소아에서는 대부분 수술하는 것이 좋다.
6. 다음 중 안면골과 두개골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의 안면골골절은?
① Le fort Ⅰ 골절
② Le fort Ⅱ 골절
③ Le fort Ⅲ 골절
④ 하악골(mandible)골절
해설 : Le fort Ⅰ 골절은 상악골 치조돌기의 수평분절골절을 의미하고, Le fort Ⅱ 골절은 상악의 편측 또는 양측골절을 의미한다. Le fort Ⅲ 골절은 상악골 전체와 안면골이 완전히 분리되는 골절로 다발성골절을 수반한다.
7. 다음 중 뇌진탕시에 볼 수 있는 소견은?
① 혈성 뇌척수액
② 명료기의 원인이 된다.
③ 뇌실질의 손상은 없다.
④ 상기 소견이 다 있을 수 있다.
8. 뇌좌상의 가장 흔한 발생부위는?
① 두정엽
② 측두엽
③ 후두엽
④ 전두엽의 기저면
해설 : 뇌좌상의 가장 흔한 발생부위는 측두엽이다.
9. 다음은 뇌진탕에 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기출)
① 뇌실질에 기질적 변화가 없다.
② 두통, 구토, 의식상실과 혈압상승 등의 증상이 있다.
③ 역행성 기억상실증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④ 뇌 CT소견 상 점상출혈, 뇌부종 등의 소견을 볼 수 있다.
해설 : 점상출혈과 뇌부종은 뇌좌상 때 볼 수 있는 소견이다.
10. 두개강 내에서 뇌가 흔들려 일시적으로 뇌의 모든 기능이 중단하였다가 몇 분 내로 완전히 회복되고 뇌실질에 기질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가역성인 경한 뇌손상은?
① 뇌열창
② 뇌부종
③ 뇌진탕
④ 뇌좌상
해설 : 뇌진탕(cerebral concussion)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