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은 경막외혈종(epidural hematoma)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두개골의 내면과 경막 사이에 혈종이 형성된 것을 말한다.
② 중경막동맥과 중경막정맥이 흔히 파열된다.
③ 경막외혈종에 있어 두개골골절은 소아의 약 90%에서 볼 수 있으나 성인에서는 드물다.
④ 의식의 변화, 반신마비와 동공산대, 의식명료기 등을 볼 수 있다.
2. 두부외상 후 반혼수상태로 입원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뇌전산화 단층촬영상 두개골 내면에 접하여 초생달 모양의 고밀도 음영을 보였다. 합당한 진단은?(기출)
① 뇌경막외혈종(epidural hematoma)
② 뇌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
③ 외상성 뇌내혈종(traumatic intracerebral hematoma)
④ 외상성 지주막하출혈(traumatic subarachnoid hematoma)
해설 : 초생달모양의 고밀도음영은 급성뇌경막하 혈종에서 볼 수 있다.
3. 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의 진단에 가장 좋은 방법은?
① 뇌전산화 단층촬영(CT scan)
② 혈관검사(Angiography)
③ 단순방사선검사(simple skull X-ray)
④ 뇌파검사(EEG)
4. 다음 중 뇌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시 주로 파열되는 혈관이 아닌것은?
① 교정맥
② 뇌피질정맥
③ 정맥동
④ 판간정맥
해설 : 판간정맥의 파열시 뇌경막외혈종이나 두개골막 혈종을 유발한다.
5. 다음 중 노년층이나 알콜중독자에게 호발하며 경막과 지주막하에 혈종이 진행되어 두통과 의식장애, 측마비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진단명은?
① 뇌경막외혈종(epidural hematoma)
② 급성 뇌경막하혈종(acute epidural hematoma)
③ 외상성 뇌내혈종(traumatic intracerebral hematoma)
④ 만성 경막하혈종(chronic subdural hematoma)
6. 다음의 두부외상 후유증 중에서 혈관 합병증이 아닌 것은?
① 동맥류(aneurysm)
② 동맥폐쇄증(arterial occlusion)
③ 외상성 기뇌증(traumatic pneumocephalus)
④ 경동맥-해면루(carotid-cavernous fistula)
7. 다음의 두부외상의 후유증 중에서 심인적 소인에 의한 것은?
① 두부 외상후증후군
② 기질적 뇌증후군
③ 운동실조
④ 외상성 간질
8. 다음 중 외상후증후군(posttraumtic syndrome)의 3대 증상이 아닌 것은?
① 두통(headache)
② 현기증(dizziness)
③ 구토(vomiting)
④ 신경성 불안정(instability)
해설 : 외상후증후군(postraumatic syndrome)의 3대증상은 두통, 현기증, 신경성불안정이다.
9. 다음은 외상후 증후군(posttraumatic syndrome)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두부손상의 정도와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후유증이 포함된다.
② 특징적인 3대증상은 두통, 현기증 및 신경성 불안정이다.
③ 수술 없이 보존적 요법으로도 치유가 잘 되는 편이다.
④ 주로 기질적, 심리적인 요인과 관련되어 있다.
해설 : 증상은 특징은 치료를 해도 잘 낫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는 수가 있다.
10. 다음 중 외상성 간질(posttraumatic epilepsy)이 가장 빈발하는 병명은?(기출)
① 뇌경막외혈종(epidural hematoma)
② 뇌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
③ 외상성 뇌내혈종(traumatic intracerebral hematoma)
④ 외상성 지주막하출혈(traumatic subarachnoid hemarrhage)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