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완골간부 하 ⅓ 골절시 손상될 수 있는 신경은?
① 요골신경
② 척골신경
③ 정중신경
④ 근피신경
2. 견관절찰구 치료 후 견관절 외측(측빙거상)에 제한이 왔을 때 손상이 의심되는 신경은?
① 요골신경
② 척골신경
③ 액와신경
④ 정중신경
3. 비골손상시 나타나는 특징적 증상은?
① 슬관절 신전 불가
② 척골신경
③ 액와신경
④ 정중신경
4. 상지의 모든 신근을 지배하여 지배범위가 가장 넓고, 상완, 전완 및 손등의 피부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은?
① 요골신경
② 척골신경
③ 정중신경
④ 근피신경
해설 : 상지의 모든 신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요골신경이다.
5. 다음 중 신경마비와 신경마비시의 증상을 옳게 짝지은 것은?
① 요골신경 마비시 - 원숭이손
② 척골신경 마비시 - 독수리손
③ 정중신경 마비시 - 하수손
④ 액와신경 마비시 - 독수리손
해설 : 요골신경 마비시는 하수손, 척골신경 마비시는 독수리손, 정중신경 마비시는 원숭이손이 나타난다.
6. 말초신경 중에서 전완의 굴근 대부분을 지배하고 무지구근과 외측충양근, 그 곁의 피부에 분포하는 신경은?
① 근피신경
② 정중신경
③ 요골신경
④ 척골신경
7. 요신경총에서 시작되어 서혜인대 아래를 지나 대퇴전면에 있는 근육과 피부를 지배하고 고관절 운동에 관여하는 봉공근과 대퇴사두근을 지배하는 신경은?
① 폐쇄신경
② 좌골신경
③ 대퇴신경
④ 총비골신경
8. 소아 골절 특징으로서 맞는 설명은?
① 외상으로 탈구보다 골절을 일으키기 쉽다.
② 리모델링이 잘 되어 15도 정도의 굴곡전위는 자연교정된다.
③ 수도운동은 관절구축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④ 관절면 골절은 보존적 요법이 원칙이다.
9. 소아 상완골 골절에 있어서 맞는 말은 어느 것인가?
① 1cm 이상 전위된 상과골절은 수술을 요한다.
② 골간부 골절은 정중신경마비를 동반하기 쉽다.
③ 과상부 골절은 외반주를 남기기 쉽다.
④ 외과골절은 수술을 필요하는 경우가 많다.
⑤ 과상부 골절은 허혈성 구축을 합병하기 쉽다.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