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골절편의 수에의한 분류로 분절골절에 해당하는 것은?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2. 신경 포착 증후군이 아닌 것은?
① 천장관절 증후군(sacroiliac syndroma)
②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a)
③ 주관 증후군(cubital tunnal syndroma)
④ 척골관 증후군(ulnar tunnal syndroma)
3. 성인에서 골유합 소요시기중 틀린 것은?
① 경골 : 12~16주
② 대퇴골 : 16~20주
③ 쇄골 : 6~9주
④ 수지골 : 6~8주
4. 불유합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 아닌 것은?
① 치상돌기의 기저부 골절
② 손목의 주상골 골절
③ 고관절의 골두하부 골절
④ 대퇴 전자간 골절
5. 다음중 수술적으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이 금기인 경우는?
① 관절면을 침범한 전위 골절
② 전위된 상완골의 대결절, 슬개골, 주두의 견연골절
③ 대퇴골 경부골절
④ 활동성 감염이나 골수염이 동반된 경우
6. 인대 손상에 의한 동요성을 보고자 하는 검사중 제일 좋은 것은?
① 근전도
② 골주사 검사
③ 스트레스촬영
④ 자기공명영상촬영
7. 다발성 골절 후 모세혈관 및 동맥을 폐쇄하여 호흡부전증상 혹은 뇌증상을 일으키는 증후근은?
① 지방색전증
② 구획증후군
③ 교감신경 반사성 위축
④ 가스괴저
8. 다음 골절중 무혈성 괴사와 연관 없는 골절은?
① 대퇴골두
② 주상골
③ 거골
④ 요골 원부위 골절
9. 결관절에서 극상근이 부착하는 부위는?
① 대결절
② 소결절
③ 해부학적 경부
④ 외과적 경부
10. 전완부 양골(요골 및 척골)의 부정 유합에 의해 어떤 운동장애를 심하게 일으키는가?
① 회내전 및 회외전
② 주관절의 굴곡 및 신전
③ 완관절의 굴곡 및 신전
④ 해당사항 없음
11. 척수가 끝나는 부위는?
① T11-T12(11-12 흉추 사이)
② T12-L1(12흉추 1요추 사이)
③ L1-L2(1-2 요추사이)
④ L2-L3(2-3 요추사이)
12. 고관절의 탈구시 손상 받을 수 있는 신경은?
① 정중신경
② 척골신경
③ 좌골신경
④ 요골신경
13. 양하지의 길이 차이가 몇cm 이상일 때 신발의 굽을 높여주거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가?
① 1.5cm
② 2.5cm
③ 3.5cm
④ 4.5cm
14. 액와 신경 손상의 원인은?
① 상완골두의 전방 탈구
② 상완골 경부 골절
③ 목발마비
④ 전부다
15. 빗금 친 부위에 감각 소실이 있으면 어떤 신경마비의 소견인가?
① 요골신경
② 정중신경
③ 척골신경
④ 근피신경
16. 다음 비구에 해당하는 부위는?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17. 다음 중 방광 조절 하는 척수 배뇨 중추는 어느 신경절에 해당하는가?
① 제 2 - 4 요추 신경절
② 제 2 - 4 천추 신경절
③ 제 3 - 5 요추 신경절
④ 제 3 - 5 천추 신경절
18. 골절이 있을 때 어느 신경이 손상받을 수 있는가?
① 척골신경
② 요골신경
③ 정중신경
④ 근피신경
19. 다음 중 외상과 관계없는 질환은?
① 이분척수
② 반월상연골 파열
③ 척추전방전위증
④ 슬관절 전방십자인대 파열
20. 관절의 분류에서 고관절은?
① 경첩관절
② 실린더관절
③ 평면관절
④ 구형관절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