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림증 감각에 이상이 있다고 한다. 다음 중 어느 신경의 이상인가?
① 근피신경
② 요골신경
③ 정중신경
④ 척골신경
2. 삼각 섬유 연골 복합체가 있는 관절은?
① 주관절
② 완관절
③ 슬관절
④ 족관절
3. 골절의 양상은?
① 분쇄골절
② 분절골절
③ 전열골절
④ 압궤골절
4. 족 건 반사가 감소 되었을 때 병변이 있는 신경근은?
① 제 2,3 요추신경근
② 제 3,4 요추신경근
③ 제 4,5 요추신경근
④ 제5 요추 ~제1천추신경근
5. 구획증후군을 확진하는 방법은?
① 골주사검사
② 근력검사
③ 조직생검
④ 조직압측정
6. 재방성 탈구가 가장 흔히 발생하는 관절은?
① 주관절
② 완관절
③ 고관절
④ 슬개골
7. 척수신경의 수이다. 맞는 것은?
① 경추 7쌍
② 경추 8쌍
③ 흉추 10쌍
④ 흉추 11쌍
8. 골다공증성 골절이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① ㉠
② ㉡
③ ㉢
④ ㉣
9. 아래의 관절 중 경첩 관절(hinge joint)은?
① 견관절
② 주관절
③ 고관절
④ 슬관절
10. 골절 또는 외상 후 골 위축의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골절 관절 손상의 정도와 관계있다.
② 골절 관절 손상 회복 후에 발생한다.
③ X-선에서 골다공증의 소견이 있다.
④ 손상 부위에 감각과민 증세가 있다.
11. 다음 중 회전근개(ratator cuff)를 이루는 근육이 아닌 것은?
① 삼각근
② 극상근
③ 극하근
④ 소원형근
12. 상완골두 전방탈구된 후 어깨(견관절)의 외전이 되지 않는다. 이때 마비된 신경은?
① 견갑상신경
② 액와신경
③ 장흉신경
④ 근피신경
13. 골의 구조물중 골의 영양공급 및 두께성장에 관여하는 구조물은?
① 해면골
② 골단선
③ 골막
④ 골수강
14. 구조물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① 슬관절의 외반력에 대한 주된 안정성 제공
② 슬관절회전의 축
③ 경골의 후방이동방지
④ 경골의 전방이동 방지 및 과신전방지
15. 폐쇄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골유합의 성공률 높음
② 감염률의 감소
③ 조기 기동
④ 골절부의 해부학적 정복이 쉬움
16. 다음 중 뇌사라고 판정할 수 없는 항목은?
① 자발호흡의 소실
② 동통자극에 반사가 없는 심혼수
③ 뇌간반사의 소실
④ 경직성 마비
17. 뇌진탕 및 뇌좌상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뇌진탕은 뇌실질의 구조적인 변화를 일으킨 것이다.
② 뇌좌상은 뇌실질내 출혈을 동반할 수 있다.
③ 뇌좌상이 발생하면 두 개강내압이 상승 및 뇌부종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④ 뇌진탕은 뇌좌상보다 예후가 일반적으로 좋다.
18. 상 운동 신경원 손상(upper motor neuron lesion)의 소견 중 합당한 것은?
① 이완성 마비를 나타낸다.
② 심부 건반사가 증진된다.
③ 바빈스키(Babinski) 반사가 음성이다.
④ 근위축이 심하게 나타난다.
19. 다음 척추 질환중 응급수술을 요하는 가장 대표적인 상황은?
① 급성마비증후군
② Grade Ⅲ 척추 전방 전위증
③ 장골 치밀화 골염
④ 추간판 탈출증
20. 대퇴골, 골반골등 다발성 골절로 입원하지 2일 경과된 환자에서 액와부 및 결막에 점상출혈, 호흡곤란, 심박 항진, 혼수 등의 소견이 나타났으며 체온은 39.5도이었다. 무엇이 가장 의심되나?
① 지방색전증(fat embolism)
② 혈전성정맥염(thrombophlebitis)
③ 두개강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
④ 파상풍(trtanus)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