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추 구멍(button hole) 변형은 다음 중 어느 구조의 손상으로 발생하는가?
① 중앙신건
② 측부 대
③ 굴곡 건
④ 외측 측부 인대
2. 감각 신경이 분포하는 감각 영역과 척수신경의 연결이 올바르게 된 것은?
① 후두부의 두피 : C3
② 유두부 : T4
③ 배꼽 : T8
④ 회음부 및 항문부 : S1
3. 소아 골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① 성인에 비해 저밀도이고, 다공성이다.
② 성인 골보다 변형력과 굴곡력에 약하다.
③ 골막이 얇아 골 재형성이 적다.
④ 장력이나 압박력에 쉽게 골절이 일어난다.
4. 구획 증후군의 증상으로 5P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것은?
① 무통(painlessness)
② 창백(pallor)
③ 무맥(pluselessness)
④ 마비(paralysis)
5. 아래의 척추간 부위 중 뇌척수액을 채취하기 위하여 안전하게 천자를 시행할 수 있는 곳은?
① 제 5/6 경추간
② 제 7/8 흉추간
③ 흉요추 이행부(제12흉추 제1요추간)
④ 제 4/5 요추간
6. 뇌 및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막(mambrane)이 아닌 것은?
① 경막
② 중막
③ 지주막
④ 연막
7. 다음중 소뇌부(infratentorial, cerebellar)에 위치하는 뇌실은?
① 측뇌실
② 제2뇌실
③ 제3뇌실
④ 제4뇌실
8. 다음 뇌신경 중 운동 및 지각신경을 모두 갖고 있는 것은?
① 외전신경
② 청신경
③ 동안신경
④ 미주신경
9. 두부손상을 받고 내원한 환자에게 통증자극을 주었을때 관찰된 다음 운동반은 중 가장 좋은 예후가 예상되는 경우는?
① 사기자 뻗치는 반응을 보임(Abnormal extensor response)
② 통증 자극을 주면 이를 손으로 치우려고 함(localized to pain)
③ 통증 자극을 주면 뒤로 움츠려 들음(withdeaws to pain)
④ 사지를 구부리는 동작을 취함(Abnormal flexor response)
10. 척수의 완전 손상을 받은 환자에게 나타나는 활성징후(vital sign)가 아닌 것은?
① 호흡의 감소
② 혈압의 감소
③ 맥박의 상승
④ 체온의 저하
11. 67세 남자환자가 눈길에서 넘어진 후 사지부전마비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하지는 보행이 가능할 정도의 경도의 마비만 관찰되었으나 상지는 심한 운동장애의 소견을 보였으며 방사선 검사상 심한 경추의 퇴행성 협착증의 소견을 보였다. 이 환자에게 가장 가능성이 많은 진단명은?
① 전척수증후군(anterior cord syndrome)
② 중심척후증후군(central cord syndrome)
③ 후척수증후군(posterior cord syndrome)
④ Beown-Sequard syndrome
12. 뇌동맥류의 파열이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두개강내 출혈은?
① 급성 경막외 혈종
② 급성 경막하 혈종
③ 지주막하 출혈
④ 뇌실질내 출혈
13. 제 7경추의 해부학적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목뒤에서 극돌기가 촉지 된다.
② 추골동맥이 지나간다.
③ 늑골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④ 융추라고도 한다.
14. 요추부의 황색인대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척추체의 전방에 위치한다.
② 극돌기 상부를 연결하는 인대이다.
③ 비후가 되면 요추 협착증을 일으킨다.
④ 수핵을 싸고 있어 탈출증이 일어나면 파열이 될 수 있다.
15. 삼주설(three column theory)에 의햐여 척추의 구조를 분류 할 때 중간 주에 해당하는 구조물은?
① 전종인대
② 후종인대
③ 후궁
④ 후관절
16. 후종인대 골화증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흉추부에서 가장 흔히 관찰된다.
② 외상에 의하여 발생된다.
③ 척수신경의 압박을 초래하여 사지마비를 일으킬 수도 있다.
④ 활동이 왕성한 20대에 많이 관찰된다.
17. 요천추부의 협부성 전방 전위증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제 4/5 요추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② 척추 분리증이 소견이 동반되어 있다.
③ 50-60 대의 여자환자에게 잘 발생한다.
④ 수술적 치료는 단순 후궁절제술이 효과적이다.
18. 척수손상 중 전척수 동맥 증후군(anterior spinal cord syndrome)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상지가 하지보다 심한 마비를 보인다.
② 전척수 동맥의 차단으로 척수 전방 ⅔의 손상이 발생한다.
③ 감각신경은 소실되나, 운동신경은 손상을 받지 않는다.
④ 손상을 당한 동측의 운동장해와 반대측의 통각의 손실을 보인다.
19. 신경계 검사에서 주로 시행하는 CT나 MRl 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옳은 것은?
① MRl는 신경조직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시상면상(sngittalimage)를 얻을 수 없다.
② 골조직(bone)은 MRl보다 CT에서 더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③ CT검사는 강한 자장을형성하여 체내의 수소 원자핵의 분포를 영상으로 나타내는 검사이다.
④ 척수 손상시 주변 인대의 손상여부는 MRl보다 CT검사에서 더 잘 보인다.
20. 뇌손상 환자에서 측정하는 Glasgow coma scale 상의 측정 항목이 아닌 것은?
① 개안반응(eye opening)
② 언어반응(verbal response)
③ 운동반응(motor response)
④ 지각반응(sensory response)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