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고로 당사자 쌍방에 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어느 쪽도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권을 지니지 않는다는 common law상의 원칙이다. 사고발생에 대하여 일방에게 10%의 책임이 있고 타방이 90%의 책임이 있는 경우에도 10%의 과실이 있는 자는 90%의 과실 책임이 있는 자에게 배상청구를 할 수 없다. 즉 소권을 소유하기 위해서 피해자는 Clear hand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 원칙은 자동차보험의 경우에는 피해자 측의 차에 동승하고 있던 자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 조성과실의 원칙은 과실이 적은 피해자 측에 가혹하므로 과실상계를 인정하려는 경향이 엿보이고 이의 완화책으로서 채용된 것이 last clear chance의 원칙이다. 한편, 전형적인 조성과실의 예는 교통이 번잡한 도로에 부주의하게 튀어나온 경우이다.
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