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손해사정연구

게시글 검색
신경외과에서 시행하는 보조진단법
최고관리자 <admin@domain> 조회수:1425 115.41.196.29
2010-04-09 20:05:39

1. 뇌척수액검사(腦脊髓液檢査 ; CSF examination)

뇌척수액을 채취하여 뇌척수액의 색깔(뇌지주막하출혈이나 척수종양의 경우 노란색)이나 혼탁(염증성 변화로 세포수가 증가할 경우) 등을 검사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가. 요추천자(腰椎穿刺 ; Lumber puncture)

양측 장골능을 연결하는 선 위에 제4요추골 극상돌기가 있어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제4~5요추간강 또는 제5요추~제1천추간강의 지주막하강에 천자침을 밀어넣어 뇌척수액을 채취하는 방법이다.

나. 후두하천자(喉頭下穿刺 ; suboccipital puncture), 대조천자(大槽穿刺 ; cisternal puncture)

측와위에서 머리를 약간 앞으로 구부리고 외 후두융기와 제1경추 또는 제2경추의 극상돌기 사이를 천자하는 방법이다.

다. 뇌실천자(腦室穿刺 ; ventricle puncture)

뇌척수액만을 채취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아니고, 뇌실조영술이나 뇌수술을 할 때 부수적으로 시행하는 방법이다.

2. 단순 X-선 촬영

X-선 촬영 전에 조영제주입이나 공기주입 등의 전처치를 하지 않고, 단순하게 X-선만을 투사하여 촬영하는 방법을 말한다.

가. 두개골의 단순 X-선 촬영법

두개골의 단순 X-선 촬영방법으로는 전후상(前後像 ; A-P view), 후전상(後前像 ; P-A view), towne's view, 이하수직상(頤下垂直像 ; submento-vertical view) 또는 두개저상(頭蓋低像 ; basilar view), 기타 시신경관투사(視神經管投射), 암양추체부투사(岩樣錐體部投射), 부비동투사(副鼻洞投射), 전두동(前頭洞) caldwell view, 상악동(上顎洞) water's view 등이 있다.

나. 척추골의 단순 X-선 촬영법

척추골의 단순 X-선 촬영방법으로는 전후상(前後像 ; A-P view), 개구전후상(開口前後像 ; open mouth A-P view), 측면상(側面像 ; lateral view), 최대굴곡위측면상(最大屈曲位側面像), 최대후굴위측면상(最大後屈位側面像). 사위상(斜位像 ; oblique view) 등이 있다.

3. 기뇌조영(촬영)술(氣腦造影術 ; pneumoencephalography, PEG)

기뇌조영술이란 공기를 지주막하강에 주입하여 두개강 내 지주막하강과 뇌실을 나타나게 하는 방법으로 간질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는 뇌 지주막하강의 유착 또는 뇌피질위축증 등에 사용한다.

4. 뇌실조영(촬영)술(腦室造影術 ; ventriculography, VG)

천두술 후 측뇌실을 천자하여 뇌실 내에 공기 또는 조영제를 주입한 후 X-선 촬영을 함으로써 뇌실의 크기, 편위 및 변형, 뇌실 내의 병소에 대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뇌 CT가 사용되기 전에는 뇌심부 종양이나 뇌실 내 종양 등 두개강 내 공간점유성 병소진단에 많이 이용된 검사방법이었다.

5. 척수조영(촬영)술(脊髓造影術 ; myelography)

척수조영술이란 척수 지주막하강제 각종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투시를 하면서 조영제의 척수 지주막하강 통과 상태와 충만결손(充滿缺損)의 유무를 관찰하여 척수 및 척수경막 내외의 병변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6. 뇌혈관조영(촬영)술(腦血管造影術 ; cerebral angiography)

뇌혈관조영술이란 조영제를 혈관에 주입한 후 X-선 촬영을 하여 뇌혈관을 나타나게 하는 방법으로, 1972년 창안된 뇌 CT가 보급되기 전 두개강 내 공간점유 병소나 뇌 혈관질환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었다.

7. 척수혈관조영(촬영)술(脊髓血官造影術 ; spinal cord angiography)

척수혈관조영술이란 척수의 동맥 또는 정맥에 방사선 비투과성 조영제를 주입하여 조영하는 진단방법으로 척수종양, 척수혈관계의 종양, 척수동정맥 기형 등의 진단에 이용된다.

8. 신경초음파조영술(神經超音波造影術 ; neurosonography)

신경초음파조영술이란 초음파검사법을 중추신경계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방사선 조사를 하지 않아 조직에 대한 손상이 없어 반복촬영이 가능하므로 신생아나 유아의 두부촬영에 이용된다.

9. 방사성동위원소검사(放射性洞位元素 ; radionuclide imaging study)

방사성동위원소를 뇌척수액에 주입하여 촬영함으로써 수두증, 뇌척수액 비루, 뇌척수액 이루 등 뇌척수액의 이상유무를 진단하는 방법이다.

10.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뇌혈류검사(腦血流檢査 ; cerebral blood flow test)

방사성동위원소를 혈관에 주입하여 뇌혈류의 순환속도와 뇌혈류량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11. 전산화단층촬영술(電算化斷層撮影術 ; computed tomography, CT)

CT는 우리 몸의 어떤 부위를 여러 개의 단층으로 나누어 한 단층씩 주사(scanning)하여 영상을 만드는 방법으로 뇌종양, 뇌혈관질환, 뇌외상, 뇌염증성질환, 척수 및 척추질환 등에 이용되고 있다.

12. 자기공명영상(磁氣共鳴影像 ; magnetic redonance imaging, MRI)

MRI는 인체에 해가 없는 자석과 고주파만을 이용하여 체내의 원자핵에 핵자기공명현상(核磁氣共鳴現像)을 일으켜 그 원자핵의 밀도와 물리화학적 특성 등을 영상화한 것이다.

가. MRI가 CT보다 우수한 질환

① 뇌백질 질환

② 후두와 질환

③ 대후두공 주위의 병소

④ 경부 척수 종양(cervical cord tumor) 및 척수공동증(syringomyelia)

⑤ 척수 기형

⑥ 아급성혈종

⑦ 뇌경색증

⑧ 기타 선청성 기형 종양, 척추 질환 등

나. CT가 MRI보다 우수한 질환

① 석회화

② 48시간 이내의 급성 출혈

③ 지주막하출혈

④ 수막염(meningitis) 및 수막 악성 종양 파급(meningeal carcinomatosis)

⑤ 신경근 증세를 동반하는 경추의 퇴행성 변화

⑥ 수막종을 포함한 고 세포성 종양(highly cellular tumor)

13. 양전자방사 전산화단층촬영술(陽電子放射 電算化斷層撮影術 ; positron emission tomo graphy, PET)

반감기가 짧은 양전자를 방사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투여한 다음 뇌 CT와 같은 원리로 이들의 체내 분포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단층촬영하는 것으로 국소적 뇌 혈류량, 혈액용적, 당, 산소, 단백합성, 아미노산 및 암모니아 등의 대사를 영상화할 수 있다.

14. 뇌파검사법(腦波檢射法 ; electroencephalography, EEG)

EEG란 뇌세포군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주파수(周波數 ; cycle), 진폭(振幅 ; amplitude) 또는 전위(電位 ; voltage), 파형(波形 ; shape of wave) 등의 요소로서 판단하며 주로 간질의 진단에 이용된다.

15. 신경근육의 전기진단법(電氣診斷法)

가. 근전도검사(筋電圖檢事 ; electromyogram, EMG)

EMG란 근육의 전기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근육의 생리학적 또는 병태생리학적 상태와 지배신경의 활동양식을 조사하여 근육 및 그를 지배하는 신경의 상태를 진단한다.

나. 신경전달속도검사(神經傳達速度檢査 ; nerve conduction velocity study, NCV)

신경전달속도를 말초신경을 자극하여 M파(Magladery wave)가 출현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계산하여 이것으로 운동 및 지각신경 기능의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다. 반사기능검사(反射技能檢査 ; study of reflex activity)

최근 전기생리학적 연구가 진보되어 대부분의 반사기능을 근전도를 이용하여 기록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다. 단일연접 H반사(單一蓮接 H反射 ; Monosynaptic H-reflex), F-반응(F-response), 눈깜빡반사(Blink-reflex) 등이 임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16. 유발전위(誘發電位 ; evoked potential)

유발전위란 갑작스러운 각종 감각적 자극에 의해서 일정한 잠복 후에 유발되는 신경조직의 전기적 반응을 말하는데, 최근 임상적으로는 감각성 자극으로서 시각유발전위(視覺誘發電位), 청각유발전위(聽覺誘發電位), 체성감각유발전위(體性感覺誘發電位) 등이 이용되고 있다.

17. 뇌(腦)의 생검(生檢 ; biopsy)

신경학적 결함이 점차 악화될 때 확실한 진단과 예후를 알기 위하여 이용하는 최종수단이다.

댓글[0]

열기 닫기